BAC 100대 명산 불갑산 등산 기록(62/100)
소재지 : 전라남도 영광, 함평
주차장 주소 : 전남 함평군 해보면 금계길 73-13 "함평 용문사" 검색
정확히는 용문사에서 조금 더 올라가면 있는 공터에 주차했습니다. 찐 최단으로 가는 길은 아래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산행시간 : 왕복 2시간 3분 (휴식시간 포함)
등산코스 : 용문사(주차장) -> 갈림길 -> 정상(연실봉) -> 원점 복귀
용문사(12시 21분) -> 갈림길(12시 50분) 29분 소요
- 다소 경사진 임도입니다. 간혹가다 급경사도 있어 허벅지에 힘이 크게 가기도 합니다. 눈만 없었다면 차로 올라갈 길입니다. 겨울이 아닌 시즌에 가신다면 차로 이동한다면 10분이면 가겠군요.
갈림길(12시 50분) -> 정상(13시 10분) 20분 소요
- 임도길을 끝까지 오르시면 한 건물이 보이고, 그곳에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면 정상 연실봉으로 가는 길입니다. 가는 길에 멋진 산그리메가 펼쳐진 경관을 보실 수 있습니다만 길이 가파르고 난간이 제대로 설치가 안되어 있기에 실족에 주의해야 합니다!
정상 (13시 10분) -> 복귀 (14시 10분) 1시간 소요
- 왔던 길 그대로 내려가 줍니다. 임도길 경사가 심했기에 하산은 쉽게 내려갈 수 있었습니다.
난이도 : 2.0점 ( 5점 만점 기준)
화장실 : 없습니다. 산행이 길지 않으니 사전 처리하고 오르심을 추천드립니다.
준비물 : 등산화, 등산복, 아이젠(필수)
재방문의사 : 축령과 마찬가지로 인증러 친구가 있다면 주차장까지 운전만 해줄 순 있음.
전라남도 함평군과 영광군 사이에 위치한 높은 봉우리 하나. 불갑산입니다. 찐 최단코스로 등산 시 넉넉잡아 한시간이면 인증하고 내려올 수 있으나, 쌓인 눈으로 인해 차가 더이상 올라가지지가 않아 용문사 인근 공터에 주차하고 올라갔습니다.
먼저 진짜 최단으로 향하는 길과 함께 불갑산 최단코스 등산 코스 안내드리겠습니다.
위 네비로 찍으라고 한 용문사가 있고, 저 로드뷰 핀셋이 박혀있는 곳이 이번에 제가 주차해서 올라간 곳입니다.
주차장으로 사용한 공터는 위와 같이 생겼습니다. 눈이 녹아 흙바닥이 질척이는 주차장입니다. 용문사 이후부터는 제설이 전혀 안되어 있습니다.
올라가는 길이 눈이 녹지 않았고, 제설도 안되어 있으며 사람들 발걸음에 녹았다 다시 얼기를 반복하여 얼음으로 되어있는 구간도 있습니다. 지금은 눈때문에 못가지만 눈이 없는 계절에 간다면 이 길을 차로 편하게 올라갈 수 있다 이말입니다.
중반쯤 올라가주면 팔각정 하나가 보이고 여기서 지그재그로 조그만 더 올라가주시면
군사건물은 아니고 보안시설 같은 건물이 보이며 앞에 차량 넉넉잡아 5대 정도 주차할 수 있을 것 같은 공터가 보입니다. 지도에서 보자면
저기 핀셋 꽂아놓은 지점이 불갑산의 찐 최단코스 주차장입니다. 지도상 보이는 하얀 길을 꼬불꼬불 따라서 올라가시다 보면 너무 쉽게 정상까지 도달할 수 있겠군요.
그 이후로는 차량도 통제입니다. 주차하시고 이정표에 따라 연실봉을 향해 가봅시다.
연실봉 가는 길은 용대 능선길과 아랫길로 나뉩니다. 어디로 가도 만나는 길 같은데, 왼쪽 용대 능선길이 더 짧고 빨라보여서 가봤습니다.
용대 능선길에서 본 풍경입니다. 전라도엔 높은 산이 없다보니 이정도만 올라줘도 저 끝까지 다 보입니다. 제가 주차한 공터와 용문사까지 보입니다. 다만 두번째 사진에서 보이듯 옆에 난간이 없습니다.. 조심해서 올라가시길 당부드립니다. 자신없고 애초에 이런거 무섭다 싶으시면 용대 아랫길로 가주세요.
저 멀리에 정상이 보입니다. 부지런히 이동합니다.
능선길을 지나 합류지점으로 가면 벌써 0.1KM 밖에 안남았음을 보여주는 이정표가 보이고.. 약속의 데크계단을 올라주시면
모악산??? 원래 불갑산 이름이 모악산이었다고 하는데.. 인증지는 저 뒤에 깔짝 보이는 연실봉이랍니다.
사람도 많이 없어서 빠르게 인증하고 내려갑니다.
정상 부근에 새 둥지도 있네요? 새는 없습니다..ㅠ
정상 부근 산길이 아찔하긴 하지만, 불갑산 역시도 무리 없이 쉽게 오를 수 있는 산입니다. 무엇보다 뷰가 축령산이랑은 비교도 안될 정도로 절경입니다. 짧은 산행에 수준급 뷰를 감상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산으로 추가하였습니다.
이번 2산으로 느낀건 전라도 산은 4월이나 5월 쯤 방장, 선운산까지 4산을 한번에 찍는 것도 무리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저처럼 괜히 겨울에 와서 운동 더 하지 마시고, 제 블로그를 보신 분은 전라도 4산은 꼭 눈이 녹은 이후에 하셔서 효율적인 명산 인증 산행 되시길 바랍니다.
24년 2월 전북 무주 덕유산 등산기록 구천동탐방지원센터 -> 백련사 -> 향적봉 -> 설천봉 -> 곤돌라 하산 (1) | 2024.02.10 |
---|---|
24년 1월 홍천 계방산 최단코스 등산 기록 운두령 -> 정상 -> 원점회귀 (1) | 2024.02.10 |
24년 1월 장성 축령산 최단코스 등산 기록 백련동 편백농원 -> 장성 치유의 숲 -> 정상 -> 원점회귀 (0) | 2024.02.03 |
24년 1월 소백산 최단코스 등산 기록 어의곡탐방지원센터 -> 어의곡삼거리 -> 비로봉 -> 원점 회귀 (0) | 2024.02.03 |
23년 12월 설악산 토왕성폭포 등산 기록 설악산 소공원 -> 육담폭포 -> 비룡폭포 -> 토왕성폭포 전망대 -> 원점 (With 알레) (1) | 2023.12.31 |